http://herbdm.co.kr/shop/item.php?it_id=1422066847
방송에 나온 약초 쓴메밀
TV조선-당뇨 잡는 기적의 쓴 메밀차 [내몸설명서 26회] 메밀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작물. 모밀·메물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교맥(蕎麥)이라 합니다.
상품 상세설명
원재료명 | 메밀 | |
---|---|---|
이명 | 목맥, buckwheat, 교맥 (蕎麥, Fagopyri Semen) | |
학명 |
Fagopyrum esculentum Moench | |
생약명 | ||
원재료 분류 | 식물 | |
식용가능 여부 |
가능 | 잎 / 줄기 / 꽃 / 씨 |
제한적 | ||
불가능 |
특성/분포 | 우리나라 전국적 분포한다.(주로 산간지방) 자생 및 재배는 서늘하고 알맞게 비가 내리는 지역이다. 높이는 60~90cm이며 6~10월에 개화 한다. 꽃은 보통 흰색인데 때로는 담홍색을 띠기도 하며 무한꽃차례로 무리지어 피며 타가수정을 주로 하며 수술은 8~9개이며 암술은 1개, 같은 품종이라도 암술이 길고 수술이 짧은 장주화와 그 반대인 단주화가 거의 반반씩 생기는 이형예현상을 보인다. 열매는 검정색, 흑색, 은색, 갈색, 모양은 세모이다. 잎은 심장형으로 잎은 원줄기 아래쪽 1~3마디는 마주나지만 그 위에 마디에서는 어긋난다. 줄기는 초록색, 분홍색, 짙은 붉은색으로 마디에 털이 있으며 우너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다. 뿌리는 천근성으로 원뿌리는 90~120cm로 가뭄에 강하다. 메밀의 어린잎은 채소로 이용, 풋베기한 것은 녹사료로 우수하고 잎과 꽃에서는 혈압 강하제인 루틴을 추출, 메밀꽃은 오랜 기간에 걸쳐 많이 피기 때문에 꿀을 많이 생산한다. 기타특징으로는 메마른 땅에도 잘 적응하고 병충해도 적은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황무지에서도 쉽게 살 수 있고 종자의 전분은 국수, 묵의 원료로 이용 또는 녹비나 사료로 이용 가능하고 피복재료로도 사용 가능하여 토양유실을 막을 수 있다.[1] |
---|---|
주요성분(부위별) | 메밀가루에는 단백질이 12.5%나 들어 있고, 물에 녹기 쉬우며 글루텐(gluten)이나 카제인(casein)과 유사하여 라이신, 시스틴, 트립토판 등의 곡물에 부족되는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단백가가 80으로 백미 72, 소맥분 47보다 높다. 비타민 B군, 특히 B1이 많이 함유되어 미맥보다 영양가가 높고, 또한 혈관의 저항을 강하시키는 루틴(rutin)(약 6% 건조물 중)을 함유하여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하다. 메밀이 영양이 좋은 것은 곡류와 달라서 이들 성분이 열매 중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제분하더라도 영양 손실이 적기 때문이다. |
안전성/독성 | 소,말,염소,양에게 독성을 일으킨다. 열매를 내복한 뒤 햇볕을 쬐면 노출된 부위에 피부발진에 생길 수 있다. |
식용외 용도 (이용부위) |
원예 및 조경용 |
기타 | 가루(잎, 순)는 대부분 글리들 케이크(griddle cake,일종의 부침)을 만드는 데 쓰이지만 동양에서는 밀을 10~50% 첨가한 면이나 묵을 만드는 데 이용한다. 열매를 건조시켜 가루낸 것을 요리에 이용한다. |
상품 정보 고시
포장단위별 용량(중량) | 600g |
---|---|
원산지 | 강원도 봉평 |
'늘푸른동명 방송에 나온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에 나온 약초 우엉(牛蒡, Arctium lappa) (0) | 2015.06.13 |
---|---|
방송에 나온 약초 초석잠 (0) | 2015.06.13 |
동명허브 자연에서 온 유기농 잎새버섯 (0) | 2015.06.08 |
동명허브 그라비올라(가시여지) (0) | 2015.06.08 |
엄지의제왕에 방송된 발모차 (0) | 2015.06.02 |